1. 일치형 의사소통 : 기능적 의사소통
- 언어적 메시지와 비언어적 메시지가 일치하는 의사소통 유형
- 친근하고 원만하며 책임감 있고 문제해결 능력이 있는 사람이 많이 사용함
- 메시지가 분명하고 직접적이며 사람을 비난하지 않으면서 행위를 평가하고 방향 제시를 할 수 있음
2. 비난형 의사소통 : 역기능적 의사소통
- 자기주장이 강하고 독선적이며, 명령적이고, 지시적인 사람들이 많이 사용
- 잘못을 남의 탓으로 돌리며 자신에게는 충성과 복종을 요구함
- 타인을 향한 자신의 욕구를 숨기고 타인에게 공포를 유발하게 함으로써 스스로 강한 자로 군힘하고 싶어함
- 상대방의 결점을 발견하며, 목소리는 딱딱하고 긴장되어 있으며 큰소리를 지름
- 상대방의 의견을 경청하거나 적절하게 행동할 수 있는 지식, 기술, 능력이 매우 부족함
3. 회유형(아첨형) 의사소통 : 역기능적 의사소통
- 상대방의 의견에 무조건 동의하고, 상대방이 원하는 대로 행동하며, 자기 탓을 많이 하며 상대방에게 죄의식을 갖게 함으로써 상대방으로부터 거부되는 것을 방어
- 자신의 욕구를 분명히 표현하지 못하며, 희생적으로 행동함
4. 초이성형(계산형) 의사소통 : 역기능적 의사소통
- 매사에 비판적이고, 분석적이며, 평가하는 반응을 많이 사용
- 지나치게 이성적이고, 잘 따지며 부정적인 측면을 잘 지적함
- 자신의 감정을 잘 표현하지 않으며, 실수하지 않으려고 노력함
5. 혼란형(주의산만형) 의사소통 : 역기능적 의사소통
- 타인의 말이나 행동과는 상관없는 의사소통을 함
- 상황을 제대로 파악하고 적절하게 반응하지 못하고, 의사표현에 초점이 없고 요점이 없음
6. 경험적 가족치료모델과 사티어
- 경험적 성장모델이라고도 함
- 인간에 대한 긍정적 사고와 성정에 대한 밑음을 기초로 하며, 수많은 가족에 대한 치료 경험을 바탕으로 한 기법들을 사용
- 가족의 의사소통 우형도 이러한 맥락에서 도출
- 체계론적 개념의 가족치료모델 : 보웬, 사이터, 미누친, 헤일리 등이 있지만, 사족체계를 중요한 치료단위로 인식한 것을 사이어임
- 사티어의 경험적 가족치료는 의사소통의 과정을 중요시하며 특히 역기능적 의사소통 유형에 관심을 두었고, 주로 쓰는 대표적인 기법은 가족조각과 재구조화 기법임
사티어의 가족치료 모델을 본인의 가족문제에 적용해 보았다.
가족의 사티어의 의사소통 유형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아버지 (비난형), 어머니 (회유형), 딸 (초이성형), 아들 (산만형)으로 나타났다.
아버지 (비난형) 의사소통을 하는 사람들은 대체적으로 완고하고 지배적이다. 이들은 문제 상황에 접했을 때 상대방이 자신과 다른 생각을 가지고 있다는 것에 대해 인정하기 보다는 화를 내고 분노하게 된다. 따라서 상대방의 의견을 듣고 수용하기보다 그들의 생각은 틀리고 자신의 생각이 옳다고 결정 내린다.
어머니 (회유형) 의사소통을 나타내는 사람들은 상대방과 항상 타협과 일치를 나타내야 한다고 생각한다. 그렇기 때문에 사람들마다 서로 다른 감정과 생각을 가질 수 있다는 것을 인정하기가 쉽지 않다. 그래서 다른 사람이 자신과 다른 의견이나 생각을 나타내면 불안을 느껴 상대방의 의견이나 행동에 쉽게 동의하며 따라간다. 따라서 자신이 원하는 것 보다는 상대방이 원하는 것에 더 민감하다. 자신에 대한 비판이나 질책에도 크게 분노하지 않으며 오히려 자기 책임으로 돌린다.
딸 (초이성형) 반응하는 사람들은 대부분의 일에 분석적이며 비판하고 따지는 스타일이다. 다른 사람보다는 자신의 감정 표현이나 상황만이 중요하다. 문제 상황에 접했을 때는 기능적이고 합리적인 것을 중요시 여기고 자신의 일에 신경을 많이 써 타인을 잘 신뢰하지 못하고 철두철미하다. 상대방을 논리적으로 미판하길 좋아하며 자기주장을 강하게 내세운다. 강박적인 성향이 강하고 타인의 실수나 잘못된 것을 허용하지 않는다. 이런 초이성형 의사소통의 소유자들은 감정적인 부분에 매우 냉정하며 차갑다. 하지만 내면적으로는 따뜻하고 자상한 감정을 매우 그리워한다. 내적으로는 약하고 쉽게 상처받지만 외부로는 절대로 표현하지 않는다.
아들 (산만형) 말과 행동, 생각 모든 차원에서 부산스럽다. 다른 사람의 질문을 잘 듣고 적절히 대답하기보다는 엉뚱한 말을 하거나 주제에 집중하지 못하기 때문에 대화가 계속되지 못한다. 즐거움과 익살맞은 것이 혼합돼 있어 행동하고 목적성이 없다. 따라서 문제 해결 상황과 같이 심각한 상황에서도 문제에 집중하지 못하고 상황과 맞지 않는 마을 하거나 상황 자체를 가볍게 여기기도 한다.
다양한 유형으로 가족이 구성되어 있어 갈등, 마찰이 많이 발생하였다. 서로에 대해 이해 하려고 하지 않고 서로 다투기만 했던거 같다.
가족 간의 각자의 유형을 공유하여 파악한다. 갈등이 생겼을 때 유형을 적용하여 말과 행동을 하도록 한다.

'교육 > 사회복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사회복지개론_ 청소년 복지 주요 대상에게 제공하는 구체적인 정책 (0) | 2022.09.08 |
---|---|
사회복지실천론_ 사회복지 실천 면접의 기술 (0) | 2022.09.07 |
사회복지정책론_중국의 복지모델 분류 (0) | 2022.09.06 |
인간행동과 사회환경_ 콜버그 이론의 주요 개념과 평가 (0) | 2022.08.25 |
정신건강론_ 주요 우울장애의 원인 (0) | 2022.08.24 |
댓글